2014년 2월 12일 수요일

WebRTC in the real world: STUN, TURN and signaling

WebRTC는 P2P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.
그러나...
WebRTC는 여전히 다음과 같은 서버를 필요로 합니다.
  • 시그널링(Signaling)이라 불리는, 클라이언트들의 통신을 조정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의 교환 서버
  •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(NAT) 및 방화벽 대응을 위한 서버
이 글에서 우리는 여러분에게 시그널링 서비스를 어떻게 구축하는지와 STUN과 TURN 서버들을 이용하여 실제 연결에 있어 이상한 사항들에 대해 어떻게 타협해야 하는지를 보여줄 것입니다. 또한 WebRTC 앱들이 어떻게 다단위의 호출을 제어할 수 있는지와 VoIP나 PSTN(전화라고도 하는)과 같은 서비스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설명할 것입니다.
만약 여러분이 WebRTC의 기초에 대해 익숙하지 않다면, 이 글을 읽기 전에 WebRTC와 함께 시작하기를 찾아서 읽어보기를 강력하게 권장합니다.


출처 : http://www.html5rocks.com/ko/tutorials/webrtc/infrastructure/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